2014년 6월 26일

축구를 봤다. 벨기에: 한국 = 1:0

고만고만하게 하더라.

혹자는 1998년으로 돌아갔다고 비난하지만 1998년의 벨기에전 중계를 본 사람으로서, 그 때보다는 확실하게 나아졌다고 생각한다. 벨기에가 그 때보다 못했을 수도 있지만. 당시의 붕대투신 투혼을 본 사람들은 비교적 상식적이고 무난하게 끝난 오늘의 게임에서, 도저히 안 되는 실력을 글자 그대로 혼신을 날려 만회하려 하는 처절함을 느끼진 못했을 거야. 모르지, 또 다른 혹자는 "근성이 없다"고 비판할 지도. 하지만 그런 건 아니라고 봐.


오늘 경기는 전체적으로 무난한 게임이었고, 무난하게 졌다. 중계를 보면서, 선수들의 움직임과 경기 진행상황을 보면서, 옛날 가본 길을 다시 걷는 익숙한 감정을 되살렸고, 이기지 못하겠다는 생각이 들더라.

홍명보감독은 박주영선수를 계속 넣었다가 이번에는 뺐다.
그리고 이런 게임이 나왔다.
그간 박주영을 꾸준히 넣은 것은 바로 이런 상황을 타개하기 위해였을 것이다.  브라질에는 이기려고 갔다. 그런데 지는 게임이 빤히 보이는 객관적인 전력 열세를 극복하려면 이레귤러, 조커가 필요하지.
런던올림픽때처럼 말이다.
그래서 박주영에게 기대를 걸었구나.. 정말 그래서일 지는 알 수 없지만, 오늘 게임을 보고 나는 홍감독 심정을 그렇게 짐작했다.
그냥 박주영이 기대에 부응하지 못했을 뿐, 오늘 경기를 보고 홍감독에게 뭐라 하고 싶지는 않아졌다.

만약 오늘 후반전에 박주영을 투입했다면 어떻게 되었을까? 별로 색깔이 없고 변수도 없어보이던 오늘 경기상, 박주영이 후반 교체선수로 들어갔다면 정말 재미있어졌을 지도 모른다. 하지만 그러기에는 홍감독도 박선수도 1,2차전에서 등에 진 부담이 너무 컸다. 그렇게 해서 골을 넣는다면 살지만, 못 넣는다면 홍명보감독은 큰 문제가 없지만 박주영선수는 아주 큰 곤경에 처하게 된다. 선수를 살리기 위해서 그랬으리라.


한편, 정성룡을 뺀 것은 음.. 나는 축구를 잘 모른다. 골키퍼는 더욱 모른다. 이번 월드컵에서 현지에서 느리고 엉덩이 무거운 골키퍼로 꼽혔다는 정도만 안다.
하지만 보도를 보니 김승규 골키퍼의 오늘 데뷔전은 평가가 꽤 좋았던 모양이다.


홍감독 많이 삭았더라.
이제 축구협회 소환에서 벗어나 될 수 있으면 빨리 자기 팀을 가지고 하고 싶은 축구를 하기를 바란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